Memantine | 알츠하이머병 | 통과 | 현기증 등 | N-메틸-D-아스파르트산(NMDA) 수용체 길항 등 | 87 |
Levetiracetam | 간질 | 통과 | 졸음, 피로, 경련, 어지러움, 균형장애, 떨림, 기억상실, 조화운동불능, 기억손상, 주의력 장애 등 | p53 발현 증가, MGMT 프로모터에 대한 HDAC1/mSin3A 복합체 결합 증가 등 | 88 |
Valproic acid | 간질, 조울증 | 통과 | 혈액 및 골수 독성, 신경학적 독성, 등 |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로 인한 방사선 감수성 증가 G2/M 세포주기 정지 p27, p21, Bim 상향조절 ROS 수치 증가를 통한 paraoxonase 2-BIM을 통한 세포사멸 유도(PON2 감소) MMP-2, 9 억제를 통한 이동과 침윤 억제 Bcl-2, Bcl-xl, Mcl-1억제와 Bax, Bak 발현 증가를 통해 미토콘드리아 기반 세포사멸 유도 자가포식 촉진 VEGF 억제를 통한 혈관신생 억제 등 | 79, 89 |
Disulfiram | 알코올 중독 | 통과 | 특정 신경학적 증상 등 | ALDH 억제, 프로테아좀 및 NF-κB 경로 억제, 구리와 결합하여 세포 독성 증가 등 | 81, 82, 83, 84, 85 |
Dimetylfumaric acid | 다발성 경화증, 건선 | 통과 | 림프구 감소증, 알부민소변, 홍반, 복통, 구토, 안면홍조, 발진 등 | NF-κB 신호 억제를 통한 항혈관신생과 전이 억제, 항염증, 세포사멸 유도, BBB 무결성 유지 MMP활성 감소 및 Nrf2 활성화로 전이 억제 등 | 90, 91 |
Sertraline (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) | 우울증 | 통과 | 오심, 발한, 설사, 졸음, 피로, 성기능장애 등 | 세포사멸 유도, AKT 하향조절, ROS 생성유도, 세포증식 억제, 세포주기 정지, DNA 단편화 유발, 칼슘이온 수준 조절하여 세포의 이동과 침입 감소, 항혈관신생, ser/gly 합성 경로 억제 등 | 92, 93, 94 |
Imipramine (삼환계 항우울제) | 우울증 | 통과 | 위장장애, 졸음, 어지럼증, 무기력, 흥분, 불안, 불면, 입마름. 햇빛에 피부 민감해짐, 변배, 배뇨장애, 시야흐림, 땀 증가 등 | PI3K/Akt/mTOR 신호 경로 억제 NFkB 발현 억제 YAP억제 통한 종양 증식 억제, 자가포식 유도 등 | 95, 96, 97 |
Metformin | 제2형 당뇨병 | 통과 | 위장관 효과 등 | 전자전달계 복합체 I 억제, AMPK 활성화, 세포주기 정지, 세포사멸유도, 자가포식 유도 등 | 68, 69, 74 |
Sulfasalazine | 류마티스 관절염, 궤양성 대장염 | 확인되지 않았음 | 호중구감소증, 백혈구감소증 등 | 시스틴 흡수 억제, GSH 수치 저하, ROS 증가, 세포사멸 유도, NFkB 억제 등 | 98, 99, 100 |
Afrepitant | 화학요법 유발 구토 | 통과 | 구역, 두통, 피로, 설사, 운동실조 등 | MMP억제 통한 전이 억제 세포사멸 유도 물질 P와 Neurokinin -1 차단 등 | 101, 102 |
Ritonavir | HIV 치료 | 확인되지 않았음 | 단독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은 알려지지 않았음. 설사, 구토, 피로, 오심, 두통, 근육통, 손발 마비, 췌장염, 간 문제, 고혈당 등 | 침윤, 전이 억제, 프로테아좀 억제 로피나비르와 리토나비르 병용 투여 시 ROS 증가, caspase 독립적 세포사멸 유도 TMZ 병용 시 효과 증가 MMP 발현 감소 등 | 103, 104, 105 |
Lopinavir | HIV 치료 | 확인되지 않았음 | 단독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은 알려지지 않았음. 설사, 구토, 피로, 오심, 두통, 근육통, 손발 마비, 췌장염, 간 문제, 고혈당 등 | MMP 발현 감소 로피나비르와 리토나비르 병용 투여 시 ROS 증가, caspase 독립적 세포사멸 유도 TMZ 병용 시 효과 증가 등 | 106 |
Valganciclovir | CMV 감염 예방 | 확인되지 않았음 | 설사, 발열, 상기도 감염, 요로감염, 구토, 호중구감소증, 백혈구감소증, 두통 등 | CMV 감염 예방 | 107 |
Itraconazole | 항진균제 | 확인되지 않았음 | 두통, 구토, 복통 등 | 라노스테롤 14-아데메틸레이스 억제, 스테롤 생합성 억제, 콜레스테롤 이동 방해 및 무질서한 배분, AKT1-MTOR 신호 전달의 억제, 자가포식 유도, 그리고 최종적으로 세포 증식의 억제 등 | 108 |
Minocyclin | 테트라사이클린 유래 항생제 | 통과 | 탈모, 가려움, 발진, 구토, 복통, 식욕부진, 간 장애, 어지러움, 두통 등 | MMP 억제하여 종양침윤 및 전이 억제, p38 MAPK의 억제하여 종양성장 억제, 자가포식, 세포사멸 유도 등 | 109 |
Chloroqine | 말라리아, 자가면역질환 | 통과 | 시야흐림, QT 간격 연장, 고농도에서 상당한 독성 등 | 세포사멸 유도, 자가포식 억제, DNA 간접 손상 등 | 78, 110 |
Hydroxychloroqine | 말라리아, 자가면역질환 | 통과 | 고용량 독성 등 | 자가포식 억제 / DNA 간접 손상 등 | 110 |
Mefloqine | 말라리아 | 통과 | 위장관 장애, 두통, 어지러움, 수면장애, 발진, 우울증, 환각, 불안 등 | 세포사멸 유도, 항 혈관신생 DNA 간접 손상, 자가포식 억제 등 | 110, 112 |
Mevendazole | 기생충 감염 | 확인되지 않았음 | 간효소(ALT, AST) 상승, 혈구 수 감소 등 | 미세소관 중합 억제, 포도당 흡수 억제, multityrosine kinase억제 등 | 113, 114 |
Haloperidol | 정신병, 조현병, 급성 조증, 양극성 장애, 투렛 증후군 (DRD2 길항제) | 통과 | 졸음, 인지기능 장애 등 | 세포사멸 유도, 증식억제, 전이 억제, G2/M 세포주기 정지 P-gp기능 차단 통한 BBB투과성 증가 등 | 115, 116 |
Trifluoperazine | 정신병, 조현병 | 확인되지 않았음 | 졸음, 어지러움, 피로감, 시야흐림, 구강건조, 식욕감퇴 등 | 칼모듈린에 결합하여 억제함. 이를 통해 IP3R 칼슘 통로를 열어 세포 내 비정상적 칼슘 방출 방사선 유도 표현형 전환을 방지하여 방사선치료 효능 향상 등 | 117, 118, 119 |
Chlorpromazine | 정신병, 조현병 | 통과 | 기립성 저혈압, 혈압저하, 빈맥, 부정맥. 빈혈, 구토, 설사 등 | 증식억제, 자가포식유도, 화학 항암제 저항성 GBM 세포의 CcO억제를 통한 COX4-1 발현을 선택적으로 억제, Cx43 발현 하향조절 통해 TMZ내성 극복 등 | 120, 121, 122 |
Olanzapine | 조현병, 양극성 장애, 헌팅턴병 | 통과 | 졸음, 체중증가, 콜레스테롤 증가, 혈당 및 중성지방 수치 상승, 당뇨, 현기증, 기립성 저혈압, 발진, 부종, 식욕증가 등 | Wnt/β-catenin 경로, C-Jun 경로 억제, 세포 증식 감소, NF-kB억제 통한 자가포식 유도, TMZ와 사용 시 시너지 효과 등 | 123, 124 |
Quetiapine | 조현병, 양극성 장애, 우울증, 불안 장애 | 확인되지 않았음 | 졸음, 어지러움, 무기력, 체중증가, 부종 등 | 고용량 투여 시 세포 주기 G2/M 억제, PI3K 경로 억제 교모세포종 줄기세포(GSCs)의 분화를 촉진하고 Wnt/β-catenin 신호 경로를 억제 등 | 125, 126 |
Amitriptyline | 우울증, 불안 장애, 편두통 예방 | 통과 | 배뇨곤란, 빈뇨, 변비, 구강 건조, 졸음, 빈맥 등 | NF-kB 발현 억제 ROS 생성 증가, 미토콘드리아 매개 세포사멸 유도 등 | 127 |
Fluoxetine | 우울증 | 통과 | 두통, 구토(구역), 불면증, 피로, 설사 등 | GluR1 결합, AMPA 수용체 활성화, 미토콘드리아 Ca2+ 유입 증가로 세포사멸 유도 스핑고미엘린 대사 방해하여 EGFR 신호경로 억제, SMPD1 억제 등 | 128, 129 |
Fluvoxamine | 우울증 | 통과 | 구역, 식욕감퇴, 변비, 설사, 소화불량, 구강건조, 복통, 어지러움, 불면증, 두통, 발한 등 | 액틴 중합 억제를 통한 GBM 세포 침윤 감소, mTOR 억제 등 | 130, 131 |
Thioridazine | 조현병 | 통과 | 심실성 부정맥, 심장 리듬 이상, 졸림, 어지러움, 구강건조 등 | AMPK 활성 촉진, 자가포식 및 세포사멸 유도 DNA 단편화 및 Caspase활성 증가 TMZ 병용 시 시너지효과 등 | 132, 133, 134 |
Diazepam | 불안 장애, 근육 경련, 마취 (벤조디아제핀 계열 전신 마취제) | 통과 | 졸음, 휘청거림, 시력장애, 구토, 식욕부진, 언어장애, 두통, 설사, 변비 등 | Rb 비활성화를 통해 G0/G1 세포주기 정지, 하이페리신 및 에토포시드 유도 세포독성 촉진 등 | 135 |
Phenformin | 제2형 당뇨병 치료 | 확인되지 않았음 | 식욕부진, 오심, 구토, 설사, 체중감소, 요산혈증 등 | 전자전달계 복합체 I 억제, AMPK 활성화 mTOR 경로 억제, 세포주기 정지, 침윤 억제, 세포사멸 유도 GSC에 대한 성장, 자가 재생 억제 NFkB, STAT3 경로 억제, miR-124, 137 및 let-7의 발현을 증가 등 | 136, 137 |
Repaglinide | 제2형 당뇨병 치료(인슐린 분비 촉진제) | 확인되지 않았음 | 저혈당, 복통, 설사, 구토, 변비, 알레르기 등 | 세포사멸 유도, BCL-2, PD-L1, Beclin-1 수준 감소 FOXO3 억제 등 | 138, 139 |
Flavopiridol | 암 치료 | 확인되지 않았음 | 설사, 염증성 증후군, 저혈압 등 | CDK 억제 통한 세포주기 정지 세포사멸 촉진, FOXM1 억제, 대사 억제, NF-kB 억제, PARP 억제, GPR78/PERK/IRE1α 억제 p27KIP1 활성의 상향 조절 통한 증식 억제 등 | 140, 141, 142 |
Gefitinib | 폐암 치료 | 제한적 | 피부발진, 설사, 오심, 구토, 피로감 등등 | EGFR 억제 | 143, 144 |
Lovastatin (스타틴 계열) | 고지혈증 치료 | 통과 | 근육 장애, 간 기능 장애, 신부전 등 | HMG-CoA 환원효소 억제 통한 세포사멸 촉진, 항증식, 항전이, 방사선 민감성 증가, 자가포식 촉진, 항혈관신생 TRAIL과 사용 시 효과 GSC 성장억제 등 | 145, 146 |
Simvastatin (스타틴 계열) | 고지혈증 치료 | 통과 | 복통, 설사, 근육 장애, 두통, 어지러움. 등 | HMG-CoA 환원효소 억제 통한 세포사멸 촉진 TGF-B 억제를 통한 증식 억제 PI3K/Akt 신호전달 경로 억제 항증식, 항전이, 자가포식촉진, 항혈관신생 등 | 147, 148 |
Pravastatin (스타틴 계열) | 고지혈증 치료 | 통과 | 복통, 설사, 두통, 어지러움. 등 | HMG-CoA 환원효소 억제 통한 세포사멸 촉진, 항증식, 항전이, 항혈관신생, 자가포식 등 | 147, 148 |
Propentofylline | 혈관성 치매, 알츠하이머병 노령견 치료 | 통과 | 구토, 오심, 안면홍조, 속쓰림 등 | TROY 경로 억제하여 종양 침윤 전이 억제, TMZ에 대한 민감도 증가, AKT, NF-κB 및 Rac1 활성화 억제 | 149 |
Pimozide | 투렛 증후군, 정신분열증, 양극성 장애 | 통과 | 언어장애, 심장박동이상, 감정기복 등 | 세포사멸 유도 c-Myc, Mcl-1 및 Bcl-2의 발현 억제 방사선 민감도 향상 등 | 150, 151 |
Tamoxifen | 유방암 예방 및 치료 | 통과 | 자궁암, 뇌졸중, 시력 문제, 폐색전증 위험 등 | EGFR 발현 감소 미토콘드리아 매개 세포사멸 유도, TMZ와 병용 시 시너지 효과 등 | 152, 153 |
Nimotuzumab | 암 치료 | 제한적 | 고열, 오한, 오심, 구토, 피부발진 등 | EGFR 억제 | 154 |
Cetuximab | 대장암 치료 | 제한적 | 시력이상, 어지러움, 피부발진, 심장박동이상 등 | EGFR 억제 | 155 |
Niclosamide | 구충제, 암 치료 보조제 | 확인되지 않았음 | 구토, 오심, 복통, 가려움증 등 | NOTCH, mTOR, NF-kB 신호 경로 억제 등 | 156 |